동그라미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 |
이 문서는 그 내용이 위키백과처럼 진지하고 어려워서, 읽는 순간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음 글을 읽는 순간 뇌량이 고장나 좌우 뇌가 완전히 따로 놀게 될 것이며, 컴퓨터마저 뿌리를 뽑고 당신의 집안에서 뛰쳐나올 것입니다. |
○(동그라미 또는 원)은 물질의 가장 기본이 되는, 양성자, 중성자, 전자로 이루어진 동그란 것에서도 보듯이 우주를 이루는 가장 기본적인 도형이다. 모서리가 없기에 흠집을 내지 않아 동전의 모양으로 쓰인다. ○ 사이에는 정다면체를 채울 수 없다. 사실, 원에는 숨겨진 비밀이 있다. 바로 π다. 그렇기에 잘 굴러간다.
동그라미의 특징[편집]
동그라미의 모서리는 π (파이) 만큼 비례한다. 그런 이유로 구르기 쉽다. 또한 원자와 원자 사이에는 끄는 힘이 생기는데, 이때 밀어내려는 힘이 약하면 동그랗게 된다.
동그라미가 있는 곳[편집]
- 양성자, 중성자, 전자, 원자의 모양이자 전자의 기본 운동할 때의 모양으로?, 이러한 원운동에 의해 원심력이 생긴다.
- 이에 행성이 항성 주위를 돌 때 중력 = 원심력이 되면 동그랗게 돈다.
- 지구형 행성도 둥글다?. 이는 물체가 중력을 이기지 못해 나타나는 현상이다. 한 멍청한 생물체는 지구가 하나의 판으로만 이루어져 가다 보면 무한 공간에 떨어져 굶어 죽는 것으로 탁웛하게 알고 있었으나 배를 가지고 여행하던 중 아메리카라는 대륙을 발견했을 뿐 아니라 배로 세계 일주를 할 수 있게 되어 이 오해는 사라졌다.
- 근데 지구는 둥근데 건물은 둥글지 못하다.
- 기타 동그랗게 그리거나 뭉치면 동그라미를 볼 수 있다.
- 또한 동그라미는 원이라고 불려 동전의 모양으로서 쓰이기도 한다. 이는 잡기 쉬운지는 모르지만 모서리가 없어 흠집을 내지 않고 거의 다칠 리가 없는 특징과도 알맞다.
도보시오[편집]
빌어먹을 수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