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고속도로
![]() |
이 문서는 불가능하거나, 실현하기 매우 어려운 일에 대한 글을 담고 있습니다. 너는 절대로 이것을 할 수 없으니, 너(따위)가 이것을 따라하다 성질이 뻗쳐서 질질 짜는 일이 없기를 바랍니다. |
![]() |
![]() |
이 문서는 도로 관련 문서입니다. 도로를 잘 모르는 사람이 멋대로 편집하면 44내림픽저속도로에서 사망하실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하지만, 러시아에서는 44내림픽저속도로가 44.192.254.173에서 사망합니다! |
![]() |
괴도 양윤경기자가 백괴사전을 훔치려고 한다! 아래로 가서 저지해라! 동해고속도로 |
“동해고속도로, 대한민국에서 공식적으로 버려진 고속도로”

동해고속도로 (Donghae Expressway)는 부산광역시와 강원도 고성군을 잇게 될 대한민국의 고속도로로, 현재는 부산광역시 ~ 포항시 구간과 삼척시 ~ 속초시 구간만 개통함
전 구간이 7번 국도와 중복되는데, 그 때문에 현재 아시아 고속도로 6호선의 역할은 7번 국도가 대신하고 있다.
망상나들목 ~ 옥계나들목 구간은 고개를 돌리면 바로 바다가 보일 정도로 동해와 인접해 있다.
역사[편집]
연결 이전[편집]
북측 구간[편집]
1975년 10월 14일 최초로 삼척시 ~ 강릉시 구간이 왕복 2차로로 개통되었다. 이후 1986년 12월 15일 강릉 북쪽으로 한 차례 연장이 있었고, 이후 다행스럽게도 2001년부터 남북으로 연장함과 동시에 기존 구간의 선형 개량 및 확장이 이루어져, 2004년 11월 24일 동해시 ~ 강릉시 구간을 마지막으로 기존 노선의 개량이 완료되었고[1] 2015년 12월에는 남쪽으로 삼척시까지, 2016년 12월에는 북쪽으로 속초시까지 연장되면서 오늘날의 삼척 ~ 속초 형태를 갖추었다.
남측 구간[편집]
2001년 11월 최초로 부산광역시 ~ 울산광역시 구간을 착공하여 2008년 12월 29일 그 반달가슴곰 같은 민간투자고속도로로 개통하였다. 그리고 2009년 6월: 울산광역시 ~ 포항시 구간을 착공하였고, 2015년 12월 양북1터널 구간을 제외하고 개통하였는데 그 이유는 양북1터널이 서울양양고속도로 인제양양터널 개통 전까지는 7km의 길이로 전국 최장 길이의 터널이었기 때문이다. 해당 구간은 2016년 12월 개통. [참고로 인제양양터널은 11km인데다가 곡선이므로 정말 백괴스러움]
2015년 이내에 포항시 ~ 영덕군 구간을 착공한다는데, 2015년이 다 되도록 구간조차 못 정한 상태이다 ㄷㄷㄷ지금이 2022년인데
교차하는 고속도로[편집]
나들목 및 분기점[편집]
- (1-1) 동부산나들목: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정동으로 갈 수 있다.
- (1) 해운대나들목: 해운대랑은 奀나 멀다.
- (TG) 해운대송정요금소: 민간투자고속도로이므로 29만 원을 내야 한다.
- (2) 기장분기점: 본래 기장일광나들목이었으나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가 개통되면서 분기점이 되었다.
- (3) 장안나들목: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로 갈 수 있다.
- (4) 온양나들목: 충청남도 아산시에 위치한 온양온천으로 갈 수 있다.
- (5) 청량나들목: 이 나들목의 통행료는 청량음료 한 병이다 카더라.
- (5-1) : 울주분기점 : 함정울주고속도로와 교차한다.
- (6) 문수나들목: 경상북도 영주시 문수면으로 갈 수 있다.
- (7) 울산분기점: 울산고속도로와 교차한다.
- (8) 범서나들목 : 하지만 이곳을 아무도 범서라고 안 부르다고 한다.
- (9) 남경주나들목
- (10) 동경주나들목
- (11) 남포항나들목
- 계획중 - 삽질을 할 지 안 할지는 알 게 뭐야
- (29) 근덕나들목 : 원래 남삼척나들목이었지만 지리상으로는 삼척의 북쪽에 있는지라 근덕나들목으로 바뀌었다.
- (29-1) 삼척분기점: 평택삼척고속도로와 분기할 예정이나, 이쪽은 아직 노선명조차 평택제천고속도로이다.
- (30) 삼척나들목
- (31) 동해나들목
- (32) 망상나들목: 44.192.254.173이 이 나들목을 지나갈 때는 망상을 하다가 사고가 날 것이다.
- (33) 옥계나들목
- (34) 남강릉나들목
- (35) 강릉나들목
- (36) 강릉분기점: 영동고속도로와 분기한다.
- (37) 북강릉나들목
- (38) 남양양나들목 : 원래는 현남나들목이었으나 위랑 반대로 양양에 있다는게 티가 안나서 그런가 남양양나들목으로 바뀌었다.
- (39) 하조대나들목
- (40) 양양분기점: 서울양양고속도로와 분기한다.
- (41) 북양양나들목: 가칭은 서울양양고속도로에 설악나들목과 같았다지만 알 게 뭐야, 그래서 북양양이라는 이름으로 개통했다.
- (
) 속초나들목: 56번 지방도와 교차하며, 고속도로의 종점이다.
- 고성군 방면으로는 계획만 있다.
도보시오[편집]
주석[편집]
고속도로 | ||
---|---|---|
남북 | [1] 경부 · [1] 경의 · [15] 서해안 · [17] 평택문산 · [25] 남자 호랑이 · [27] 순한 천과 완두콩 · [35] 중앙부산고속도로 · [45] 중부중부 · [55] 중앙 · [65] 동해 | ![]() |
동서 | [10] 남해 · [12] 광대(구 44내림픽) · [16] 울산 · [20] 새만금포항 · [30] 당진영덕 · [40] 평택삼척 · [50] 영동 · [52] 광주원주 · [60] 서양 | |
순환 | [100] 수도권제1순환 · [300] 대전남부순환 · [400] 수도권제2순환 · [600] 부산외곽순환 · [700] 대구외곽순환 | |
경인 | [110] 제2경인 · [120] 경인 · [130] 인천국제공항 | |
지선 | [151] 서천공주 · [153] 평택시흥 (제2서해안) · [171] 용인서울 · [171] 오산화성 [1] [253] 고창담양 |
- ↑ 용인서울선과 같은 노선번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