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처드 스톨만

백괴사전, 너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F0093645 4bcf98da3b276.jpg ☭리 끌른 뜡뀍 꽁싼땅과 쏘련레써 쓴 끌립네따!
리 끌른 뜡뀍 꽁싼땅과 쏘삐레트 련빵레 릐해 쓰려찐 끌립네따. 께따까 뤌남 꽁싼땅과 奀썬로똥땅레써또 썼르니 깍뼐히 쭈릐하씹쑈우!! 쏘련레써는 꽁싼주릐까 려러분를 깡료합네따!
Super Mario Red Star.png
"형제들이여! 내 말 좀 들어보라! 때가 왔도다! 우리 모두
같이 독점 소프트웨어의 억압을 부숴버리고 썩은 기업이라는 악마의 손아귀로부터 인류를 자유롭게 하자!"

리처드 M. 스톨만 ("rms", "GNU/스톨만", 가끔 카를 마르크스톨만라고도 함)은 작가 겸 GUTFAT의 발의자며 GNU의 창시자다. 오스카 와일드에 의하면 여기에서의 GNUGNU is Not Uncyclopedia라는 의미라고 한다.

기본적으로, rms의 이론은 자유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것보다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더 중요하게 여긴다. 몇 년 후 그는 자유로운 반달, 자유로운 위키백과 기여 행위, 자유로운 범죄, 자유로운 ㄹㄹㄹ, 그리고 엄청나게 비싼 케이크과 함께 자유로운 뻥까기의 대변인이 되었다.

탄생[편집]

rms 그 자신의 기록이 적혀있는 책인 해커의 사전에 따르면 그는 1953년에 공장에서의 어떤 실수 때문에 중합체의 형태로 만들어졌다.

에는 관심이 없던 어떤 직원이 남아도는 액체 고무와 에폭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왁스를 어떻게 바닥에 쏟을까 고민하고 있었다. 그는 모든 쓰레기 받침대가 꽉 차고 모든 주조 금형이 사용중임을 알아챘는데, 혹시라도 나중에 그것을 치우게 될까 걱정하며 (아마도 다음 주에 그가 그보다 더 나은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직장 상사가 해고할 것이라고 하였으므로)이상한 구성물을 바닥 위에 있는 얼룩 위에 슬쩍 버렸다.

직상 상사는 나중에 금속 덩어리 같은 무더기가 사라지고, 그것이 존재했던 곳에 폴리우레탄 같은 흔적만이 남아 있음을 알아챘다...

학계[편집]

즐거운 재회:폴리머 공장에 일하던 사람이 그의 돌잔치에 rms를 다시 방문했다.

시간이 조금 지나고 나서, rms는 하역장에 왁스 얼룩, 액체 고무와 에폭시 플라스틱을 늘어뜨리고 그 유명한 하버드 대학교 정문에 진입했다. 그는 학교에 갈 때 보안관이 못 본 사이 건물 안으로 미끄러져 들어갔다.

여성들은 물론 모든 학생과 교수에게도 인기가 없었던 그는 썩은 냄새가 나는 진흙 얼룩 따위로 취급받았으며, rms는 1974년에 하버드에서 대부분 교수와의 실질적인 접촉이 필요 없는 컴퓨터 기반의 프록터-등급 과정으로 물리학 학사 학위를 받고 졸업할 수 있었다.

같은 기간에, 그는 문 밑에서 쥐어짠 MIT 인공 지능 연구실에서 메일 슬롯을 통해, 시설의 PDP-10 컴퓨터와 함께 (약간은 검열을 거치지 않은) 관계를 즐기는 것에 보람을 느꼈다.

GNU와 FSF[편집]

모든 자유 소프트웨어의 재산으로 스프레이 프린트된 RMS의 사진

1984년 1월, rms가 방역 계통의 비즈니스 엔드를 만날 때, 그를 교수가 잊어버린 커피 컵에서 나온 세균덩어리 따위로 취급한 난감한 청소부 녀석 때문에 몇몇 화학적 상처가 생겼다. 그는 MIT에서 도망쳐서, 그의 주름 사이로 안전하게 디스크를 붙들고 GNU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그가 처음으로 한 프로그래밍이 아닌 다른 일(GNU 선언서) 중 하나는 지루한 것으로 잘 알려졌다. 이 선언서는 나중에 상업적인 모임에 의해 채택되어 재포장이 이루어졌고, 산업적인 제약이 있는 시장에 수술 진정제로 판매되었다.

그것은 클래스 대 클래스로 탄소 화합물로 이루어진 두 발로 걷는 자본주의가들에 맞서 투쟁하는 산업 물질의 폐기물과 마주한 혹독한 정치 현실을 상세히 묘사하고 있었다. 그리고 그것은 자유로운 유닉스, 즉 호환성 있는 운영 체제의 창조의 개요에 대해 약간은 언급하고 있었으나, 도스가 아닌 운영 체제를 많은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게 될 때까지 그 점을 아무도 읽을 수 없었다.

그는 자신의 구형 모양이 자신이 일하는 소프트웨어 기업의 성공적인 추진에 넘사벽을 형성한다는 것은 분명히 알았을 때, rms는 이와 비슷한 영향을 받은 기관에게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비영리 목적의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FSF)을 통합하였다.(슬로건:새로운 정체성, 새로운 시작, 새로운 지평)

소속감을 조금씩 찾아가는 과정, rms는 10대 후반에 위험한 플라스틱 폭발물 단체와 간단하게 제휴를 맺는다.

운영 체제[편집]

rms국수 부속품의 무감각함, 그리고 그에게 다가온 고통과 함께 아쉽게도 자신이 패배했음을 깨달았고, 그의 시스템 도구 배열을 보완하여 GNU 운영 체제를 완성할 기능적인 커널을 만들 수 없게 되었다. 그는 네트워크 합성체 상에서 프로그래머 팀을 조립한 후, 그들에게 다음과 같은 미션과 그들의 슬로건 지침을 주었다:"제한 없는 기술, 급진적 개발"

그리하여 GNU의 TURD 프로젝트는 1990년대 초에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나, 혁신적인 패키지를 생산하려고 극심하게 쥐어짜는 것이 사실상 엉터리로 결정된 설계 때문에 낭비였다는 것이 들통나고 말았다. 이 프로젝트가 완성되기까지 한참 동안 문 옆에서 참고 기다린 대중은 결국 리눅스의 비옥한 풀밭으로 이동하게 되었고, 덕분에 GNU의 제안은 보기 좋게 씹혔다. 그래서 HURD 커널은 지못미.

비판[편집]

그가 유연한 삶을 살기 시작하는 동안, 대부분의 기관에서 rms는 정말 미칠 듯이 함께 일하기 어렵다고 설명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이맥스 팀은 rms의 프로젝트에서 갈라져 나온 프로젝트에서 들은 그와 일하는 것에 대한 1만가지 단순 불만 사항을 토대로 그의 문제를 구체화시켜 목록으로 분류했다.

고분자 화학 분야의 전문가에 의하면 rms를 기반으로 한 물질은 시간이 지날 수록 천천히 경화되는 것으로 추측되지만, 왜 그렇게 되는지, 그리고 그 상태를 되돌릴 수 있는지는 알 수 없다. 예전부터 rms는 자신을 건드리는 것에 극도로 민감하여 건드리지도 못하게 하였고 조직 샘플을 제공하는 것을 격렬하게 반대해 온 탓에, 진실은 아무에게도 알려지지 않았다. 그러나 그가 죽을 때가 된다고 가정하면 rms는 보스턴과 메사추세즈에 있는 GNU 본부에 기념 동상만 남기고 사라질 수 있을 것이다.

그 외 사소한 것들[편집]

  • 그는 수영을 할 수 없으나, 물 위를 떠다니는 위엄을 발휘할 수 있다. 피하지방이 두터워서 그렇다.
  • 그는 나치크로소프트빌 게이에게 맞춤 제작을 주문받았지만, 그것이 사실상 "자유"였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단호하게 그것을 거절했다.
  • 리누스 토르발스는 말했다:“rmsTURD가 망해서 가라앉아 있을 사람으로 영원히 기억될 것이다.”
  • 그의 개인 광고에서, rms는 사람들이 치밀하게 생각한 것들을 의미하는 것뿐만 아니라 둥근 자신을 의미하고 있으며 공장 바닥에서 빈약하게 시작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룬 성과를 자랑스러워하고 있다.
  • 그는 KLDP의 초청을 받은 적이 있었으나 음식 투정을 하며 혼자 식사를 한 적이 있었는데, 사실은 그의 몸에서 나는 악취가 심해 도저히 같이 식사할 수가 없어 권순선이 스톨만에게 따로 먹기를 권한 것이었다.
  • 그는 요즘 대세라고 불리는 클라우드를 싫어하는데, 오라클의 래리 앨리슨 CEO 역시 같은 입장?이다. 차이가 있다면 그 후 래리 앨리슨은 클라우드를 싫어한 것을 후회했지만 리처드 스톨만은 여전히 까고 있다.
  • 그는 ATI를 사지 말라는 운동을 벌였는데, 후에 이 영향을 받은 리누스 토르발스가 엔비디아을 날리는 계기가 되었다. 아님 말고.
  • 그의 이름이 'Richard M's tall man!(리처드 M.키 큰 사람!)'으로 불릴 수 있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그는 사실 루저다.
  • 그의 약칭인 'RMS'는 Round Meat Spin의 약자로 불리기도 한다.

도보시오[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