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괴낱말사전:

백괴사전, 너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백괴낱말사전, 명사 말과 글의 흩어짐
Undictionary-logo-ko-icon.png
어서 오세요, 여기는 백괴낱말사전입니다!

한글 색인


모음 *

로마자 색인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그랬어 문자 색인


Α Β Γ Δ Ε Ζ Η Θ Ι Κ Λ Μ Ν Ξ Ο Π Ρ Σ Τ Υ Φ Χ Ψ Ω

키릴 문자 색인


А Б В Г Д Е Ё Ж З И Й К Л М Н О П Р С Т У Ф Х Ц Ч Ш Щ Ъ Ы Ь Э Ю Я

아랍 문자 색인


ا ب ت ث ج ح خ د ذ ر ز س ش ص ض ط ظ ع غ ف ق ك ل م ن ه و ي

특수문자 색인


! @ $ % ^ & () ? + - × ÷ = ; , / ~

데버나거리 문자 색인


· · · · · · · · · ·

가나 색인


· · · · · · · 𛀆 𛀁 · · 𛄟 ·

백괴옥편 / 듕귁어


 부수 목록을 보려면 오른쪽의 '펼치기'를 눌러 주세요.

바로 가기


들머리 · 대하여 · 소개 · 편집 지침(옥편) · 아랫방 · 기타 윤희코드 문자


[편집]

이게 산을 표현한 수화다. 절대 욕으로 착각하지 말자. 잘 보면 2,4번째는 반만 폈다. 이건 산 중턱을 의미한다.

[편집]

U+5C71 이미지

山부 2획, 총 5획
어떤 말 못하는 사람이 수화로 산을 표현한 것을 보고(여기서 수화로 표현한 산은 원래는 가운뎃손가락을 올리는 거였으나 그건 욕과 같아서 구별을 위해서 2,4째 손가락도 반 쯤 편다) 만든 글자이다.

2획[편집]

[편집]

U+5C73 이미지

  • 입산할
山부 2획, 총 5획
入山(입산)을 한 글자로 합친 것으로, 뜻은 같다.

3획[편집]

[편집]

U+5C7E 이미지

  1. 산이 둘 솟을
  2. 쌍엿
山부 3획, 총 6획
상형자 산이 둘 솟은 것을 보고 만든 글자이다. 일설에 따르면 한 듕귁인이 사람을 쌍엿 먹이려고 만들었다 카더라. 와 같다.

[편집]

U+5C80 이미지

  • 산이 둘 솟을
山부 3획, 총 6획
상형자 산이 둘 솟은 것을 보고 만든 글자이다. 와 같다.

[편집]

U+37AD 이미지

山부 3획, 총 6획
왜국 성씨 大山(Ōyama)를 한 글자로 나타낸 것이다.

𡵅[편집]

U+21D45 이미지

  1. 왜국 성씨 야마카와
  2. 산천 산천
山부 3획, 총 6획
왜국 성씨 山川(Yamakawa)를 한 글자로 나타낸 것이다. 또한 단어 산천(山川)을 한 글자로 나타낸 것이기도 하다.

𡵎[편집]

U+21D4E 이미지

山부 3획, 총 6획
왜국 성씨 丸山(Maruyama)를 한 글자로 나타낸 것이다.

𪨢[편집]

U+2AA22 이미지

山부 3획, 총 6획
왜국 성씨 山下(Yamashita)를 한 글자로 나타낸 것이다.

𪨤[편집]

U+2AA24 이미지

山부 3획, 총 6획
왜국 성씨 小山(Koyama)를 한 글자로 나타낸 것이다.

4획[편집]

[편집]

U+37B1 이미지

  1. 산 밑에 해 있을
  2. 왕관
山부 4획, 총 7획
  1. 상형자 산 밑에 가 있는 것을 본떠 만든 글자이다. 그런데 어떻게 산 위도 아니고 산 밑에 해가 있냐고? 이런 현상은 듕귁이니까 가능하다 카더라.
  2. 잘 보면 왕관과도 닮았다.

𡶀[편집]

U+21D80 이미지

  • 왜국 성씨 야마우치
山부 4획, 총 7획
왜국 성씨 山内(Yamauchi)를 한 글자로 나타낸 것이다.

5획[편집]

[편집]

U+5CA9 이미지

  1. 쪼개진 바위
  2. 돌로 된 산
山부 5획, 총 8획
  1. 미상이라는 한 사람이 巖을 아주 줄여 써서 탄생한 글자이다. 이후 사람들은 이 글자에 '쪼개진 바위'라는 뜻을 부여했다.
  2. 회의자 석산(石山)을 한 글자로 합친 것으로, 뜻은 같다.

[편집]

U+5CB7 이미지

  • 산민
山부 5획, 총 8획
어느 듕귁인이 산민(山民)을 두 글자로 쓰기가 귀찮아서 하나로 줄여 만들어낸 글자이다.

[편집]

U+5CC0 이미지

  • 산술 , 야마다 잘못 쓸
山부 5획, 총 8획
형성자 뜻을 나타내는 山과 음을 나타내는 由(유 → 수)로 이루어져 있다. 산술이라는 뜻은 마이크로소프트의 뜻풀이를 따른 것이므로 오류가 전혀 없다. 그리고 𡶚를 쓰려고 한 어떤 듕귁인이 잘못해서 田의 세로획을 너무 길게 썼더니 이렇게 되었다.

[편집]

U+5CD9 이미지

  1. 왜국 성씨 야마데라
  2. 산사
  3. 고개 ,
山부 6획, 총 9획
  1. 왜국 성씨 山寺(Yamadera)를 한 글자로 나타낸 것이다.
  2. 산사(山寺)를 한 글자로 합친 것으로, 뜻은 같다. 후대에 절이 있는 몇몇 고개 이름에 이 글자를 쓰면서 고개라는 뜻도 생겼다. 하지만 이제는 아무 마을 이름에나 막 쓴다. 대치동(大峙洞)과 같이. 그리고 '티'로도 읽는다. 부산미소녀공화국의 '대티역'이 유명한 예이며 강놈·성남 마을 전철의 한티역도 대치동의 옛 이름인 '한티(峙)'를 이용하여 이름을 지었다 카더라.

𡶚[편집]

U+21D9A 이미지

  • 왜국 성씨 야마다
山부 5획, 총 8획
왜국 성씨 山田(Yamada)를 한 글자로 나타낸 것이다.

𡶪[편집]

U+21DAA 이미지

  • 왜국 성씨 이시야마
山부 5획, 총 8획
왜국 성씨 石山(Ishiyama)를 한 글자로 나타낸 것이다.

6획[편집]

𡶼[편집]

U+21DBC 이미지

  1. 서쪽 산
  2. 왜국 성씨 야마니시
  3. 듕귁 지역 산시
山부 6획, 총 9획
서쪽(西)에 있는 산(山)을 나타내는 글자이며, 왜국 성씨 山西(Yamanishi)를 한 글자로 나타낸 것이기도 하다. 또한 듕귁에서는 이 글자가 자기네 나라의 '산시 성'의 이름을 나타낸다고 주장하고 있다.

𪨳[편집]

U+2AA33 이미지

  • 산행 (음 미상)
山부 6획, 총 9획
산행(山行)을 한 글자로 줄인 것으로 뜻은 같다.

7획[편집]

[편집]

U+5CEA 이미지

  • 얼굴과 손을 내밀
山부 7획, 총 10획
어떤 사람이 얼굴(谷)과 손(山)을 같이 내민 모습을 나타낸 글자이다. 그런데 이 손 모양이 가운데손가락을 편 것처럼 보여서 음이 욕이 되었다.

[편집]

U+5CF4 이미지

  • 재갈
山부 7획, 총 10획
입에 물리는 물건인 재갈을 뜻하는 한자이다. '재갈'이라는 뜻은 마이크로소프트의 뜻풀이를 따른 것이므로 오류가 전혀 없다.

𭖈[편집]

U+2D588 이미지

  • 울창한 산
山부 4획, 총 7획
  • 어떤 듕귁초딩이 나무 많은 산(山)을 보고 만든 글자이다.

8획[편집]

[편집]

U+5D0A 이미지

  • 산림
山부 8획, 총 11획
산림(山林)을 한 글자로 합친 것으로, 뜻은 같다. 𡹇과 같다.

[편집]

U+5D17 이미지

  • 왜국 현, 도시 오카야마
山부 8획, 총 11획
왜국의 오카야마 현(岡山県)과, 거기에 있는 오카야마 시(岡山市)에서 岡山 부분을 한 글자로 합한 것이다.

[편집]

U+5D20 이미지

  1. 동쪽 산
  2. 산둥
山부 8획, 총 11획
동쪽(東)에 있는 산(山)을 나타내는 글자이며, 듕귁인들이 山東(Shāndōng)을 두 글자로 쓰기가 귀찮아서 한 글자로 합친 것이기도 하다.

𡸫[편집]

U+21E2B 이미지

  • 뜻도 음도 알 수 없는 글자
山부 8획, 총 11획
진수(陳壽)의 삼국지(三國志)에서 초주(譙周)의 아버지의 이름에 쓰인 글자인데, 다른 문헌에선 쓰인 기록이 전무하여 정확한 뜻도 음도 알 수가 없다.

𡹇[편집]

U+21E47 이미지

  • 산림
山부 8획, 총 11획
산림(山林)을 한 글자로 합친 것으로, 뜻은 같다. 崊과 같다.

9획[편집]

[편집]

U+5D50 이미지

  1. 산바람
  2. 아라시
山부 9획, 총 12획
  1. 산(山)에서 부는 바람(風)을 의미하는 글자이다.
  2. 왜국의 아이돌 그룹 아라시를 의미하는 글자이다.

𡺈[편집]

U+21E88 이미지

  • 메아리
山부 9획, 총 12획
산(山)에서 울려퍼지는 소리(音), 즉 메아리를 의미하는 글자이다.

𪩂[편집]

U+2AA42 이미지

  • 남쪽 산
山부 9획, 총 12획
남쪽(南)에 있는 산(山)을 나타내는 글자이다.

𭖷[편집]

U+2D5B7 이미지

  1. 급하게 등산할 (음 미상)
  2. 𭖷에 쓰인 한자 (음 미상)
山부 9획, 총 12획
  1. 왜놈이 서둘러서 등산하는 등산가를 보고 만든 글자이다.
  2. 왜국의 한 지명 이름에 쓰인 글자인데, 하도 많이 깨져서 대체 표기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10획[편집]

[편집]

U+5D6C 이미지

  • 산귀신
山부 10획, 총 13획
산(山)에서 사는 귀신(鬼)을 뜻하는 한자이다. 𩲈와 같다.

11획[편집]

[편집]

U+5D8B 이미지

  • 산새
山부 11획, 총 14획
형성자 산(山)에서 사는 새(鳥)를 뜻한다. 변형으로는 島가 있다.

[편집]

U+3800 이미지

  • 왜국 성씨 토리야마
山부 11획, 총 14획
왜국 성씨 鳥山(Toriyama)를 한 글자로 나타낸 것이다. 위의 嶋와도 같다.

𫶓[편집]

U+2BD93 이미지

  • 더 험할 (음 미상)
山부 11획, 총 14획
'﨑/崎'의 짝퉁으로, 崎 오른쪽 위에 를 넣은 한자로, 더 험하다라는 뜻이 생겼다. 그리고, 일부 왜놈들은 자신의 성씨나 일부 지명에 﨑/崎 대신 이 글자를 넣는 데, 이러한 왜놈들은 사기를 잘 치므로 항상 경계해야 한다.(𮄲, 𫶓는 﨑/崎보다 깨지기 더 쉬우므로 어떤 사람들은 일부로 의도하고 쓰는 경향이 있다) 𮄲와 같다.

13획[편집]

𡽒[편집]

U+21F52 이미지

  1. 평화, 편안할
  2. 야마모토 둘 있을
山부 13획, 총 16획
祇(기)의 고자이다. 야마모토(山本)를 두 번 써 야마모토 씨가 두 명 있다는 것을 나타내려 한 것이 가차되었다는 설도 있다.

𰎹[편집]

U+303B9 이미지

남쪽 산 아래 개 있을 (음 미상)
山부 13획, 총 16획
왜놈이 자신의 집 남쪽 산에 개가 있는 것을 보고 만든 글자인 데, 왜 𪩘보다 나중에 배당되었는 지는 모른다.

15획[편집]

𡾏[편집]

U+21F8F 이미지

  1. 큰 바위
  2. 바위 무더기
山부 15획, 총 18획
듕귁과 일본의 바위를 뜻하는 岩(암)의 石을 3개 써 바위가 매우 큰 것 또는 바위가 무더기로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16획[편집]

𡾩[편집]

U+21FA9 이미지

山부 16획, 총 19획
듕귁인이 서울 용산구를 표현하기 위해 龍山(용산)을 하나로 합쳐 만든 글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