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괴낱말사전:水
한글 색인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모음 * 로마자 색인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그랬어 문자 색인 Α Β Γ Δ Ε Ζ Η Θ Ι Κ Λ Μ Ν Ξ Ο Π Ρ Σ Τ Υ Φ Χ Ψ Ω 키릴 문자 색인 А Б В Г Д Е Ё Ж З И Й К Л М Н О П Р С Т У Ф Х Ц Ч Ш Щ Ъ Ы Ь Э Ю Я … 아랍 문자 색인 … ا ب ت ث ج ح خ د ذ ر ز س ش ص ض ط ظ ع غ ف ق ك ل م ن ه و ي 특수문자 색인 @ $ % ^ & () ? + - × ÷ = ; / … ~ 데버나거리 문자 색인 अ इ उ ए ओ · क ख ग घ ङ · च छ ज झ ञ · ट ठ ड ढ ण · त थ द ध न · प फ ब भ म · य र ल व · श ष स · ह · ऋ ॠ · … 가나 색인 あ い う え お · か き く け こ · さ し す せ そ · た ち つ て と · な に ぬ ね の · は ひ ふ へ ほ · ま み む め も · や ゆ 𛀁 よ · ら り る れ ろ · わ ゐ ゑ を · ん 부수 목록을 보려면 오른쪽의 '펼치기'를 눌러 주세요. 바로 가기 들머리 · 대하여 · 소개 · 편집 지침(옥편) · 아랫방 · 기타 윤희코드 문자 |
水
水
U+6C34 이미지
- 음역자 갸
- 물 수
- 水부 0획, 총 4획
한글 '갸'를 본따서 만든 글자이다. 갸와 그리 비슷하지는 않지만 왼쪽의 ㄱ 모양의 획, ㅑ의 세로획을 나타내는 亅, ㅑ의 가로획을 나타내는 丿, 乀로 이루어져 있다. 나중에 한글을 모르는 듕귁인들이 '물'이라는 뜻을 추가하고 '수'라는 음을 추가했다.
0획
氵
U+6C35 이미지
- 가타카나 수
- 물 튀길 수
- 水부 0획, 총 3획
- 듕귁에서 가타카나 シ(shi)를 표현하기 위해 만든 글자이다. 또한 이건 水가 변한 모양이기도 하다. 水가 모양이 이렇게 변한 이유는 물이 튄 모습을 나타내는 것이다.
𰛄
U+306C4 이미지
- 왼쪽 물 (음 미상)
- 음역자 기
- 水부 0획, 총 2획
- 물 수(水) 왼쪽 부분만을 가져온 글자로, 왼쪽으로 흐르는 물줄기를 의미한다.
- 한글 '기'를 본뜬 글자이다.
𰛅
U+306C5 이미지
- 오른쪽 물 (음 미상)
- 水부 0획, 총 3획
- 물 수(水) 오른쪽 부분만을 가져온 글자로, 오른쪽으로 흐르는 물줄기를 의미한다.
1획
氶
U+6C36 이미지
- 제대로 이어지지 않을 승
- 水부 1획, 총 5획
- 어떤 듕귁인이 承을 제대로 쓰지 않아 탄생한 글자로, 나중에 사람들은 이 글자에 제대로 이어지지 않았다는 뜻을 부여했다.
氷
U+6C37 이미지
- 얼음 빙
- 水부 1획, 총 5획
- 물 위에 빙산이 떠 있음을 나타내어 얼음이란 뜻을 지니게 된 글자이다. 북극 인근에 살던 사람이 만든 글자로 추정된다.
永
U+6C38 이미지
- 붓글씨 영
- 水부 1획, 총 5획
- 본래는 '길다'라는 뜻을 가졌으나, 분해 결과 붓글씨 쓰는 법이 모두 다 있다고 판단되어 오늘날 서예의 기본이 되는 글자가 되었다.
氺
U+6C3A 이미지
- 커다란 물 수, 별 수
- 水부 1획, 총 5획
- 듕귁의 한 초딩이 水를 폼나게 써서 탄생한 글자이다. 또한, 여섯 방향으로 반짝이는 별을 본 어떤 듕귁인이 별이라는 뜻을 추가했다.
2획
氻
U+6C3B 이미지
- 사슴 륵
- 수력 륵
- 水부 2획, 총 5획
- 듕귁에서 사슴을 뜻하는 왜말 단어 シカ(shika)를 표현하기 위해 만든 글자이다.
- 水力을 한 글자로 합한 것으로, 뜻은 같다. (예: 氻發電所 수력발전소)
汃
U+6C43 이미지
- 시하 팔
- 水부 2획, 총 5획
- 듕귁에서 왜말 シハ(shiha)를 표현하기 위해 만든 글자이다.
汈
U+6C48 이미지
- 물 보고 웃을 조
- 水부 2획, 총 5획
- 어떤 듕귁인이 물(氵)을 보고 웃은(刁) 나머지 만든 글자이다.
汉
U+6C49 이미지
- 죽을 한
- 水부 2획, 총 5획
- 듕귁에서 죽는다는 뜻의 왜말 단어 シヌ(shinu)를 표현하기 위해 만든 글자이다.
𣱶
U+23C76 이미지
- 오줌 복
- 水부 2획, 총 5획
- 듕귁에서 오줌이라는 뜻의 왜말 단어 シト(shito)를 표현하기 위해 만든 글자이다.
3획
汌
U+6C4C 이미지
- 왜국 성씨 미즈카와
汐
U+6C50 이미지
- 아래 석
- 혀 석
- 水부 3획, 총 6획
- 듕귁에서 아래 또는 혀를 뜻하는 왜말 단어 シタ(shita)를 표현하기 위해 만든 글자이다.
汑
U+6C51 이미지
- 아래 탁
- 水부 3획, 총 6획
- 듕귁에서 아래를 뜻하는 왜말 단어 シモ(shimo)를 표현하기 위해 만든 글자이다.
汘
U+6C58 이미지
- 일곱 천
- 水부 3획, 총 6획
- 듕귁에서 일곱을 뜻하는 왜말 단어 シチ(shichi)를 표현하기 위해 만든 글자이다.
汞
U+6C5E 이미지
- 수은 홍
江
U+6C5F 이미지
- 시에 강
- 水부 3획, 총 6획
- 듕귁에서 왜말 シエ(shie)를 표현하기 위해 만든 글자이다.
𣲅
U+23C85 이미지
- 구부러진 강 (음 미상)
- 水부 3획, 총 6획
- 한 듕귁인이 구부러진 강을 보고 강을 뜻하는 江을 변형해 만든 글자이다.
𣲇
U+23C87 이미지
- 시테 (음 미상)
- 水부 3획, 총 6획
- 듕귁에서 왜말 シテ(shite)를 표현하기 위해 만든 글자이다.
4획
汱
U+6C71 이미지
- 물개 견
汾
U+6C7E 이미지
- 수분 분
- 水부 4획, 총 7획
- 수분(水分)을 한 글자로 줄인 것으로, 뜻은 같다.
沐
U+6C90 이미지
- 왜국 성씨 미즈키
- 수요일과 목요일 목
- 水부 4획, 총 7획
- 어떤 듕귁인이 왜국 도토리 현 사카이미나토 시의 '미즈키 시게루 로드'(水木しげるロード)를 완주하고 나서 미즈키 시게루(왜국 만화 게게게의 키타로의 작가)의 성씨인 水木을 한 글자로 합쳐서 만든 글자다. (예: 沐しげる 미즈키 시게루)
- 어떤 왜놈이 수요일과 목요일에만 방송되는 드라마인 '수목 드라마'를 보고 水木을 한 글자로 합쳐서 만든 글자다.(예: 沐ドラマ 수목드라마)
沓
U+6C93 이미지
- 짝퉁 논 답
沙
U+6C99 이미지
- 물 적을 사
- 모래 사
- 水부 4획, 총 7획
- 물(氵)이 적게(少)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글자이다.
- 왜 이 글자에 모래라는 뜻이 생겼는지는 모르지만, 강에 물이 적으면 바닥에 있는 모래가 보인다는 것에서 추측할 수 있다.
沝
U+6C9D 이미지
- 2배로 센 물 추
- 水부 4획, 총 8획
- 어떤 사람이 炎(또는 炏)에 대항하기 위해 제작한 글자이다.
沢
U+6CA2 이미지
- 가릴 택
- 水부 4획, 총 7획
뜻을 나타내는 氵(水→氵)와 음을 나타내는 尺(척 → 택)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리다'라는 뜻은 마이크로소프트의 뜻풀이를 따른 것이므로 전혀 오류가 없다. 澤, 泽과 같다.
𣲜
U+23C9C 이미지
- 우물물 영
5획
泈
U+6CC8 이미지
- 겨울 물 종
- 水부 5획, 총 8획
- 겨울(冬)에 나오는 물(氵)을 나타내는 글자이다.
泊
U+6CCA 이미지
- 흰 물 박
- 水부 5획, 총 8획
- 하얀(白) 빛을 띠는 물(氵)을 나타내는 글자이다.
泳
U+6CF3 이미지
- 풀 버전 붓글씨 영
- 水부 5획, 총 8획
- 붓글씨 쓰는 법이 다 있다고 전해지는 永에 氵의 치킴획?을 추가한 것이지만 쓰기 어려워서 오늘날 서예의 기본이 되지 못했다.
泽
U+6CFD 이미지
- 가릴 택
- 水부 5획, 총 8획
뜻을 나타내는 氵(水→氵)와 정체 모를 부분인 𠬤로 이루어져 있다. '가리다'라는 뜻은 마이크로소프트의 뜻풀이를 따른 것이므로 전혀 오류가 없다. 澤, 沢과 같다.
㳓
U+3CD3 이미지
- 오른쪽 물 우
- 水부 5획, 총 8획
- 오른쪽(右)에 있는 물(水→氵)을 나타내는 글자이다.
𣳇
U+23CC7 이미지
- 왼쪽 물 좌
- 水부 5획, 총 8획
- 왼쪽(左)에 있는 물(水→氵)을 나타내는 글자이다.
- 북쪽 물 북
- 水부 5획, 총 9획
북쪽(北)에 있는 물(氵)를 뜻하는 글자이다. 이 글자만 유일하게 그림인 이유는 윤희의 나라의 북쪽에 물이 한 방울도 없어서 이 글자만 윤희코드에 추가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6획
洒
U+6D12 이미지
- 서쪽 물, 가짜 술 쇄
- 水부 6획, 총 9획
- 서쪽(西)에서 나오는 물(氵)을 나타내는 글자이다. 그리고 술을 나타내는 한자인 酒에서 酉를 西로 바꿔쳐서 가짜 술을 나타내기도 한다.
洧
U+6D27 이미지
- 물 있을 유
- 水부 6획, 총 9획
- 물(氵)이 있는(有) 것을 나타내는 글자이다.
𣴙
U+23D19 이미지
- 물 많을 치
- 水부 6획, 총 9획
- 물(氵)이 많이(多)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글자이다.
𪵼
U+2AD7C 이미지
- 수색 (음 미상)
- 水부 6획, 총 10획
- 대한민국의 수색동을 한자로 표현하기 위해 만든 글자이다.
𰛠
U+306E0 이미지
- 물에 빠져 죽을 사
- 水부 6획, 총 9획
- 물(氵)에 빠져 죽는(死)것을 의미하는 한자다.
7획
浬
U+6D6C 이미지
- 해리 리
- 水부 7획, 총 10획
'리(里, 약 392.72미터)'라는 단위가 길게 느껴짐에 따라 해리(1852미터)에 해당하는 글자에도 里를 붙인 것이다. 氵(수)는 '물, 바다'라는 뜻을 보여 주기 위해 붙은 것이다.
浾
U+6D7E 이미지
- 붉은 물 적, 정
- 水부 7획, 총 10획
- 붉은(赤) 빛을 띠는 물(氵)을 나타내는 글자이다.
涌
U+6D8C 이미지
- 힘 없이 솟아오를 용
- 水부 7획, 총 10획
- 힘 있게 솟아오른다는 뜻의 湧에서 力을 빼, 힘 없이 솟아오른다는 것을 나타낸다.
涩
U+6DA9 이미지
- 조금 떫을 삽
- 水부 7획, 총 10획
- 듕귁인들이 조금 떫은 맛을 느끼고 난뒤 만들어낸 글자이다.
8획
㴄
U+3D04 이미지
- 물 먹고 어이없어 할, 황당해 할 앵
- 水부 8획, 총 11획
- 물(氵)을 먹고 어이없어 하거나 황당해 하는(囧) 것을 나타내는 글자이다.
涷
U+6DB7 이미지
- 동쪽물 동
- 水부 8획, 총 11획
- 동쪽(東)에서 나오는 물(氵)을 나타내는 글자이다.
淸
U+6DF8 이미지
- 푸른 물 청
- 水부 8획, 총 11획
- 푸른(靑) 빛을 띠는 물(氵)을 나타내는 글자이다. 清과 같다.
淼
U+6DFC 이미지
- 세 배로 센 물 묘
- 水부 8획, 총 12획
- 어떤 사람이 焱에 대항하기 위해 만든 글자이다. 㴇과 같다.
清
U+6E05 이미지
- 푸른 물 청
- 水부 8획, 총 11획
- 푸른(青) 빛을 띠는 물(氵)을 나타내는 글자이다. 淸과 같다.
渋
U+6E0B 이미지
- 적절히 떫을 삽
- 水부 8획, 총 11획
- 왜놈들이 澁을 자신의 것으로 우긴 결과 생긴 글자이다.
㴇
U+3D07 이미지
- 세 배로 센 물 섭
- 水부 8획, 총 12획
- 어떤 사람이 焱에 대항하기 위해 만든 글자이다. 淼과 같다.
𣶒
U+23D92 이미지
- 못 연
- 水부 8획, 총 11획
- 연못에서 물결이 치는 모양을 나타낸 글자이다. 淵이 총 12획, 肅이 총 13획임을 생각하면 이 글자는 총 9획이 되어야 할 듯하나, 윤희는 이 글자를 총 11획으로 세어버렸다. 그런데, 이 글자에서 부수인 氵?는 대체 어디 있는 걸까? 이 문제에 대한 해답을 찾지 못한 듕귁의 한 사전은 그냥 丿부로 분류해버렸다.
9획
渦
U+6E26 이미지
- 스프레이 와
温
U+6E29 이미지
- 적절히 따뜻할 온
渾
U+6E3E 이미지
- 수군 혼
湌
U+6E4C 이미지
- 물 먹을 찬
- 식수 찬
湆
U+6E46 이미지
- 물소리 읍
- 水부 9획, 총 12획
- 물(氵)에서 나는 소리(音) 또는 물이 내는 소리를 나타내는 글자이다.
湟
U+6E5F 이미지
- 수요일의 황제 황
- 水부 9획, 총 13획
- 수요일(水)의 황제(皇)를 나타내는 글자이다.
湦
U+6E66 이미지
- 수성 성
湧
U+6E67 이미지
- 힘 있게 솟아오를 용
- 水부 9획, 총 12획
- 힘 없이 솟아오른다는 뜻의 涌에서 力을 더해, 힘 있게 솟아오른다는 것을 나타낸다.
湫
U+6E6B 이미지
- 가을 물 추
- 水부 9획, 총 12획
- 가을(秋)에 나오는 물(氵)을 나타내는 글자이다.
湳
U+6E73 이미지
- 남쪽 물 남
- 水부 9획, 총 12획
- 남쪽(南)에서 나오는 물(氵)을 나타내는 글자이다.
湷
U+6E77 이미지
- 봄 물 춘
- 水부 9획, 총 12획
- 봄(春)에 나오는 물(氵)을 나타내는 글자이다.
鿌
U+9FCC 이미지
- 청량산·청량사 량
- 水부 9획, 총 12획
- 청량산(清鿌山)과 청량사(清鿌寺)를 한자로 표기할 때 쓰이는 글자로, 2012년 2월에 윤희코드 6.1이 나오기 전까지는 제대로 표기할 수 없었다. 涼·凉과는 다르다.
10획
源
U+6E90 이미지
- 수원 원
- 水부 10획, 총 13획
- 수원생물공국(水原生物公國)을 한자로 쓸 때 水原을 두 글자로 쓰기 귀찮아서 水를 氵로 바꾼 뒤 한 글자로 합친 것이다. 음은 수와 원 중 있어 보이는 원을 택했다.
溤
U+6EA4 이미지
- 물에 사는 말 마
- 해마 마
- 水부 10획, 총 13획
- 물(氵)에서 사는 말(馬)을 나타내는 글자이다. 또한 나중엔 해마를 뜻하게 되었다.
溴
U+6EB4 이미지
- 브롬 추
溾
U+6EBE 이미지
- 물귀신 외
- 水부 8획, 총 11획
- 물(氵) 속에 살고 있는 귀신(鬼)을 나타내는 글자이다.
㴩
U+3D29 이미지
- 설사 옹
𭱣
U+2DC63 이미지
- 여름 물 하
𰜩
U+30729 이미지
- 물 이름 은
- 水부 10획, 총 13획
- 이 한자는 대한민국 인명용 한자임에도 불구하고 윤희코드 13.0에서 새로 나온 한자다. 또한 새로 나온 한자기에 이 한자를 지원하는 글꼴은 아직 거의 없다.
11획
㵃
U+3D43 이미지
- 물뱀 사
- 水부 11획, 총 14획
- 물(氵)속에 사는 뱀(蛇), 즉 물뱀을 나타내는 글자이다.
㵉
U+3D49 이미지
- 두 번 목욕할 임
- 水부 11획, 총 14획
- 듕귁의 한 초딩이 沐을 쓰려다가 잘못 쓴 나머지 탄생한 글자이다. 글자가 서로 겹쳐서 그런지 두 번 목욕하다는 뜻이 붙여졌다.
12획
潕
U+6F55 이미지
- 물 없을 무
- 水부 12획, 총 15획
- 물(氵)이 없는(無) 것을 나타내는 글자이다.
潢
U+6F62 이미지
- 누런 물 황
- 水부 12획, 총 15획
- 누런(黃) 빛을 띠는 물(氵)을 나타내는 글자이다.
潶
U+6F76 이미지
- 검은 물 흑
- 水부 12획, 총 15획
- 검은(黑) 빛을 띠는 물(氵)을 나타내는 글자이다.
潼
U+6F7C 이미지
- 수요일에 노는 아이 동
- 水부 12획, 총 15획
- 수요일에 노는 아이를 뜻하는 글자이다.
㵘
U+3D58 이미지
- 4배로 강한 물 만
- 水부 12획, 총 16획
- 水를 네 개 써서 燚에 대응하고자 만든 글자이다.
13획
澤
U+6FA4 이미지
- 가릴 택
- 水부 13획, 총 16획
뜻을 나타내는 氵와 음을 나타내는 睪(역 → 택)으로 이루어진 글자이다. '가리다'라는 뜻은 마이크로소프트의 뜻풀이를 따른 것이므로 전혀 오류가 없다. 沢, 泽과 같다.
14획
濞
U+6FDE 이미지
- 콧물 비
- 水부 14획, 총 17획
- 코(鼻)에서 나오는 물(水 → 氵), 즉 콧물을 뜻한다.
16획
瀧
U+7027 이미지
- 수룡 롱
㶅
U+3D85 이미지
- 물 배울 학
17획
瀯
U+702F 이미지
- 수영 영
18획
灉
U+7049 이미지
- 새의 설사 똥 옹
19획
𤄶
U+24136 이미지
- 약수 약, 삭
- 水부 19획, 총 22획
- 약(藥)과 같은 물(氵), 즉 약수를 나타낸다.
22획
灣
U+7063 이미지
- 물굽이 완
- 水부 22획, 총 25획
물(水)이 육지 쪽으로 굽어져(彎) 있는 것을 뜻한다. 대한민국에는 이 한자의 음이 '만'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완'이 맞다.
- 예시 : 順天灣(순천완), 迎日灣(영일완), 港灣(항완)
23획
灥
U+7065 이미지
- 큰 샘 천
- 水부 23획, 총 27획
- 어느 듕귁인이 보통 샘보다 더 큰 샘을 보고 만든 글자이다.
32획
𤆁
U+24181 이미지
- 아주 큰 샘 성
- 水부 32획, 총 36획
- 어느 듕귁인이 보통 샘보다 훨씬 더 큰 샘을 보고 灥만으로 모자라서 만든 글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