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백괴사전, 너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Autobahn Southkorea.svg 이 문서는 도로 관련 문서입니다.
도로를 잘 모르는 사람이 멋대로 편집하면 44내림픽저속도로에서 사망하실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하지만, 러시아에서는 44내림픽저속도로가 44.192.254.173에서 사망합니다!
고속도로 제400호선
400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Capital Region 2nd Ring Expressway, 首都圈第二循環高速道路)는 말 그대로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하고 수도권의 주요 도시를 거쳐 순환하는 노선이지만, 도대체 왜 있는 노선인지는 도 모른다. 거기에다가 어디는 민자로 건설하고 어디는 나라에서 건설하는 형태로 하여, 노선 상에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보다도 요금소가 많게 되어 국민들이 요금을 몇 번씩이나 내게 해 원성을 사기도 딱 좋은 고속도로이다.

개통된 구간[편집]

화성JC ~ 동탄JC 구간 [편집]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중 가장 먼저 개통된 구간으로, 2009년에 개통되었다. 봉담동탄고속도로라고도 불리는데, 백괴스럽게도 봉담IC - 화성JC 구간은 수도권2순환고속도로가 아니라고. 결국,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가 전 구간 완공되어도 결국 봉담동탄고속도로라는 이름이 사라지지는 않는다는 거다. 삐–지랄맞게도 이 구간은 민자구간이다.

동탄JC ~ 곤지암JC 구간[편집]

화성광주고속도로라고도 불리고 이천오산고속도로로 불리기도 한다 카더라. 씨발 이 구간은 또 민자 구간이다. 2022년 3월에 개통되었고 터널은 허벌나게 많다. 길이는 31.17km.

양주 ~ 소흘 구간[편집]

양주 나들목과 소흘 분기점을 잇는 짧은 구간. 백괴스럽게도 세종포천고속도로의 일부였다가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로 편입되었다 카더라. 삐–미친색꺄 왜 이 구간도 민자 구간인건데? 서울양양고속도로 전구간 개통일과 같은 날짜인 2017년 6월 30일에 개통되었다. 길이는 그건 그렇고 왜 또 민자인건데;;

서김포통진IC ~ 남항 교차로 구간 [편집]

흔히 인천김포고속도로로 불린다. 왜일까? 삐–그거야 민자니까 에있발 (정답을 확인하려면 삐를 눌러보세요) 길이는 약 29km 이고, 인천북항터널로 유명하다. 2017년 3월 23일에 개통하였다.

마도JC ~ 화성JC 구간 [편집]

삐–개새끼야 또 민자구간!! 2021년 4월 28일에 개통되었고, 평택시흥고속도로와 접하고 있으며 길이는 18.5km 정도 된다 카더라.

중첩구간[편집]

평택시흥고속도로[편집]

2013년 개통된 평택시흥고속도로는 길이 40.3km이고, 민자이기 때문에 제2서해안고속도로로 불린다. 삐–미친년아 중첩구간 마저 민자이면 어떡해?

해제된 중첩구간 (중부내륙고속도로)[편집]

해제된 구간이라고요. 더이상 할말없다.

미개통 구간[편집]

남양평JC ~ 화도JC 구간[편집]

2020년에 개통될 예정이었으나, 2021년으로 연기되고, 백괴스럽게도 또 연기돼서 2022년 12월에 개통 예정이다. 단, 조안IC - 화도JC 구간은 2023년 말에 개통될 예정이다 씨발

곤지암JC ~ 남양평JC 구간[편집]

길이 19.37km의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의 구간이다. 2019년 9월 착공하였는데, 2026년에 개통될 예정으로 2022년 기준으로, 앞으로 4년이나 기다려야 한다.

화도JC ~ 소흘 JC 구간[편집]

길이 28.71km로, 같은 민자구간이다. 2018년 12월에 착공하였고, 2023년 말에 개통될 예정이다. 원래 2022년 개통 예정이었는데, 1년 연기되었다. 삐–당신의 운전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양주IC ~ 법원IC 구간[편집]

길이 24.8km로, 2023년 12월에 개통 예정이다. 2017년 3월에 착공하였다. 양주 - 소흘 (소흘 - 양주) 구간에서 파주까지 이어질 예정이다. 파주시는 최전방 지역이므로, 평택문산고속도로에 이어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가 최전방 지역을 통과하는 2번째 고속도로가 될 수 있다.

법원 IC ~ 서김포통진IC 구간[편집]

백괴스럽게도, 이 구간 중 일부가 한강 하구 생태습지를 지나가서 습지를 존나 오염시킬 수 있다. 그래서 논란이 일고 있다. 하지만 이거를 마냥 하저터널(해저터널 아님)로 뚫기에도 뭐하다.

남항 교차로 - 시화JC 구간[편집]

시화 멀티테크노밸리 구간은 2022년 개통 예정이다. 이 남항교차로 - 시화 구간의 나머지는 나중에 개통할 예정이다.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1공구(시화~남송도IC)는 2023년에 착공하여 2030년에 개통할 예정이다. 2022년 기준으로, 앞으로 개통까지 8년이나 남았다. [1]


도보시오[편집]

  1. 4년은 비교도 안됨
  2. 용인서울선과 같은 노선번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