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니메이션
![]() |
해설이 있는 문서 이 문서에는 일반인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해설이 있습니다. 위에 있는 해설 탭을 눌러서 이 문서에 대한 해설을 참조해 주십시오. |
![]() |
백괴사전이 잠시 후 폭발한다! 어서 아래 문서로 대피하라! 애니메이션 |
애니메이션(영어: animation)은 animate dead의 약자로, 죽은 자를 주술로 조종하는 것을 뜻한다.
유래[편집]
애니메이션이라는 말은 영어의 animate(움직이다)에서 왔다. 애니메이션의 정확한 유래는 16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16세기 초, 아프리카 남부에 창궐하던 부두교는 다양한 신앙의 포섭과 흥겨운 민속 음악 리듬 등으로 수많은 아프리카인들을 신도로 만들어 갔는데, 단점이라면 초창기의 부두교는 굉장히 잼이 없는 종교였다는 것이다. 북을 치며 춤추는 것은 곧 질리기 시작했고 이에 따라 부두교는 새로운 오락거리를 찾기 위해 노력했다. 그 결과 만들어진 것이 애니메이션이다. 여러 신도들이 애니메이션 제작에 자원했고 곧 큰 유행이 되었다. 애니메이션은 부두교에 새로운 오락거리를 줌과 동시에 신도들에게도 활력과 기쁨을 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았고, 곧 세계 곳곳으로 퍼져나갔다.
세계의 애니메이션[편집]
- 부두교의 애니메이션은 원조인 만큼 각별한데, 부두교에서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어진 결과물을 좀비(dksemfhdj: whaql)라고 한다. 좀비들은 비록 동작이 굼뜨지만 매우 잼이 있고 여러 가지 훌륭한 일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부두교 신도들은 모두 좀비를 좋아한다. 최근에는 각 가정마다 집에서 만든 좀비를 헐리우드에 대여해서 공포영화를 찍음으로써 부두교인들은 많은 수익과 재미를 보고 있다.
- 듕귁인들은 좀비를 보고 짝퉁인 강시를 만들었다. 강시를 만들 때는 부두교인들이 외우는 주문 대신 이마에 부적을 붙여서 움직이는데, 부적을 붙이는데는 듕귁산 풀이 사용된다. 듕귁산답게 믿을 수 없기 때문에 부적은 잘 떨어지고, 강시들을 제대로 움직이는 것은 굉장히 힘들다.
- 유럽에서도 애니메이션은 크게 유행했다. 가장 유행한 것은 흑사병이 끝나고 난 후인 16세기 말엽으로 이때는 흑사병으로 죽은 시체들이 산을 이루었기 때문에 애니메이션을 만들 재료가 풍부했다. 이 때문에 가정마다 애니메이션이 유행했는데, 사람들이 애니메이션을 만드느라 생업에 종사하질 않자 유럽 정부는 애니메이션 제작을 불법으로 간주하고 이것을 대체하기 위해 플레이 총살을 유행시켰다. 유럽에서 애니메이션 제작이 다시 시작된 것은 19세기 초나 되어서다.
- 왜놈들은 자몽과 마찬가지로 애니메이션을 자기들 맘대로 왜곡하여 자기들 입맛대로 바꿔 버렸다. 그 결과 만들어진 것은 애니메이션이 아니라 아니메(왜말: アニメ)라고 하는데, 아니메는 초기에는 미국과 유럽을 따라하여 시체를 조종해 부활시키는 것이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진짜 시체 대신 가상의 시체를 종이에 그려서 움직이기 시작했다. 이 아니메는 일본 등지에서는 큰 인기를 끌어서 덕후들이 양산되는 주 원인이 되었으며 덕후들은 자신만의 아니메를 하나씩 가지는 것이 꿈이라고 한다.
- 이 때문인지 왜국에서 만든 애니메이션 중 하나인 나루토에서는 실제로 사람을 죽이고 나서 차크라 실로 죽은 사람을 조종하는 문화가 유행했으나 곧 소멸되었다.
애니메이션에서의 왜국 것 바꿔치기[편집]
대한민국에서는 이런 애니메이션에 나오는 왜국 지명을 아니, 왜국 전통 음식, 왜국 물건, 심지어는 왜국에서 일어난 행사까지 모두 대한민국 것으로 바꿔치기하는 악행을 벌이고 있는데, 다음과 같다.
크레용 신짱에서의 바꿔치기[편집]
주인공인 노하라 신노스케가 사는 도시이자 사이타마 현 카스카베 시의 짝퉁인 '카스가베'(春我部)가 '떡잎마을'로 바꿔치기 당했다. 그리고 극장판 중 하나인 '어른 제국의 역습'에서는 '대판 만국박람회'를 '대전 엑스포'로 바꿔버리는 큰일을 저질렀다. 참고로, 대전 엑스포에는 월석이 전시된 적이 없기 때문에 당연히 이 바꿔치기는 모순이다. 또한, 오키나와를 제주도로 번역하며?, 극장판 18기 '초시공! 태풍을 부르는 나의 신부'에서는 어른 신노스케의 약혼자인 카네아리 타미코(金有たみ?子)의 이름은 한국판에서는 이를 음역하여 '다미'라는 이름을 만들어냈다.
키테레츠 대백과에서의 바꿔치기[편집]
초롱이의 오빠가 거제에 있는 대학에 다닌다고 해서 거제에 가는 편이 있는데, 거제의 야경을 잘 보면 왜국 하코다테 풍경이다!! 그리고 호구라는 6수생이 안동에 가는 편도 있는데, 이때 라멘이 칼국수로 바꿔치기 당했고?, 안동에 도착한 장면을 보면 삿포로 시계탑도 볼 수 있다. 그리고 시즈오카 현 하마마丛의 하마나 호로 추정되는 호수가 '속초 용마호수?'로 바꿔치기 당했다.
쌍둥이 맑음에서의 바꿔치기[편집]
동경 다이토 구 아사쿠사에 있는 센소지(浅草寺)의 정문인 '카미나리몬'(雷門)을 직역해서 '천둥문'으로 만들어버리는 일을 저질렀다.
괴담 레스토랑에서의 바꿔치기[편집]
위의 '천둥문'보다 더 심한 사례이다. 왜국 어딘가에 있는 '야마자쿠라 마을'의 한자를 그대로 따다가 읽어서 '산앵마을'이라는 백괴스러운 마을을 만들었다. 그리고 아무 애니메이션에서나 다 하는 가장 흔한 사례인 '홋카이도→강원도'도 있다.
만화, 애니메이션 둘러보기 | |
---|---|
구성 요소 | 그림 · 미술 |
도구 | 종이류 · 펜 · 컴퓨터 (태블릿 · 어도비 플래시 등) |
나라별 | 대한민국 · 미국 · 왜국 · 유럽 · 기타 |
도보시오 | 애니메이션 제작사 · 영화 · 웹툰 (목록) · 영상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