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동고속도로
![]() |
이 문서는 도로 관련 문서입니다. 도로를 잘 모르는 사람이 멋대로 편집하면 44내림픽저속도로에서 사망하실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하지만, 러시아에서는 44내림픽저속도로가 44.192.254.173에서 사망합니다! |
![]() |
백괴인이 가장 큰 공포를 느낀다는 백괴사전에서 클릭하는 위키백과훈련, 제가 직접 한번 해보겠습니다. 영동고속도로 |
막히던 도로에 갑자기 괴물이 나타나여 모두 광주원주고속도로와 서울양양고속도로, 그리고 평택제천고속도로로 도망치는 것을 속초가는 운전자가 보았다.
“경로를 재탐색합니다. 잠시후 원주JC에서 광주원주고속도로 진입입니다... 이어서 몇 킬로미터와 만종JC에서 중앙고속도로 진입입니다 그리고 수십 킬로미터와 춘천JC에서 서울양양고속도로 집입입니다 그리고 100km와 양양JC에서 동해고속도로 진입입니다 영동고속도로는 고성가도 속초가도 양양가도 강릉가도 동해가도 삼척가도 울진가도 영덕가도 포항가도 경주가도 울주가도 울산가도 기장가도 부산가도 다시는 쳐다보지 않겠습니다.”
- —네비게이션이 말했다, 영동고속도로는 서울양양고속도로님께 밥줄이 뺏겨 극심한 적자를 볼 것이다.

영동고속도로 (Yeongdong Highway, 零凍高速道路)는 인천광역시와 강원도 강릉시를 잇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로, 정체 현상이 매우 심하다. 초기 개통 때는 도로의 품질이 44내림픽저속도로만도 못하였고, 드리프트가 난무하여 대관령이 아흔아홉구비라는 말도 이쪽에서 나왔다.
역사[편집]
1971년 12월 1일 신갈 분기점 ~ 새말 나들목 구간이, 1975년 10월 14일 새말 나들목 ~ 강릉 분기점 구간이 왕복 2차로의, 44내림픽저속도로는 명함도 못 내밀 정도의 품질을 자랑하며 개통되었다. 이와는 별개로 1991년 11월 29일 안산 분기점 ~ 신갈 분기점 구간이 신갈안산고속도로라는 이름으로 개통되었고, 그 당시 서창 분기점 ~ 안산 분기점 구간은 백괴스럽게도 서해안고속도로로 지정되어 있었다. 그 뒤 신갈 분기점 ~ 강릉 분기점 구간을 지속적으로 개량하여, 2001년 11월 28일 대관령 구간의 개량을 끝으로 개량이 마무리되었다. 그리고 그에 앞서 2001년 8월 25일, 서해안고속도로 서창 분기점 ~ 안산 분기점 구간과 신갈안산고속도로 안산 분기점 ~ 신갈 분기점, 그리고 영동고속도로를 통폐합해 현재의 노선이 되었다. 그러나 길이 경부고속도로 못지 않게 막혀, 지속적으로 확장 공사를 하고 있다.
경유지[편집]
- 인천광역시
- 경기도
- 강원도
- 이세상에 한개밖에 없는 술 - 돈을 횡령한 성 주인 - 내림픽 - 강에 묘가 있음
나들목 및 분기점[편집]
- (1) 서창분기점: 제2경인고속도로와 교차하는 분기점으로, 이 분기점을 지나갈 경우 학교 동창들을 모두 잃어버릴 수 있다.
- (철거) 월곶나들목: 2010년 3월 18일까지 나들목이었다가 제3경인고속화도로 개통으로 분기점으로 변경되었다. 월곶나들목의 주요 업무는 정왕나들목으로 옮겨졌다.
- (2) 월곶분기점: 2010년 3월 19일부터 분기점 역할을 하는 곳이다. 그 이유는 제3경인고속화도로의 개통 때문이라고 한다.
- (3) 군자분기점: 잘못 나갈 경우 서울특별시의 군자역으로 빠질 수 있으며, 평택시흥고속도로와 분기한다. 강릉 방향에서 평택 방향으로만 분기가 가능하다.
- (TG) 군자요금소
- (4) 서안산나들목
- 안산휴게소: 인천 방향에서는 초딩들이 마지막 휴게소라면서 슬퍼한다.
- (5) 안산나들목: 이 나들목은 조금 백괴스럽다. 어떻게 백괴스럽냐면, 이 나들목으로 나갈 경우 남쪽으로 가게 되는데 정작 램프는 북쪽으로 연결되어 다시 오른쪽으로 270° 드리프트를 하는 것이다. ("백괴스러움 요소 1")
- (6) 안산분기점: 이 분기점은 서해안고속도로와 교차한다. 이 분기점의 램프가 군데군데 빠져 있어 인천 방향으로 가다가 목포 쪽으로 빠지거나 서울 방향으로 가다 강릉 쪽으로 갈 경우 팔곡 분기점 및 둔대 분기점을 이용해야 한다.
- (7) 둔대분기점: 이 분기점 역시 서해안고속도로와 교차하는데, 여기서는 인천 방향으로 가다가 목포 방향으로 갈 수밖에 없다. 둔대분기점과 둔내나들목이 헷갈려 이대로 횡성까지 가버릴수도?? (백괴스러움 요소 2)
- (8) 군포나들목: 정작 안산시민들이 더 애용한다.
- (9) 동군포나들목: 나들목 옆에 화물터미널이 있어 화물차가 주로 이용한다. 또한 평택파주고속도로와 남군포나들목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 (10) 부곡나들목
- (11) 북수원나들목: 주로 수원·의왕·안양시민들이 이용한다.
- (12) 동수원나들목: 용인서울고속도로와 광교상현나들목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 (13) 신갈분기점: 경부고속도로와 교차하는 거대한 분기점이다.
- (14) 마성나들목: 주변에 에버랜드가 있으며, 진출로가 마성터널을 사이에 두고 우회도로 형태로 있다. (포곡나들목 또는 처인나들목이라 할 수 있었는데 하필 동보다 못한리의 이름을 따서 나들목 이름을 지었기 때문에 백괴스러움 요소 3)
- (15) 서용인분기점: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와 분기한다.
- (16) 결번으로, 원래 서용인분기점이 사용할 예정이던 번호이나, 군포나들목과 동군포나들목 사이 지어질 예정이던 평택파주고속도로와 교차하는 분기점이 무산되면서 동군포나들목부터 서용인분기점까지 번호를 하나씩 당기게 되어 결번이 되었기 때문에 백괴스러움 요소 4)
그럴거면 뭐하러 당겼는지? 차라리 이천나들목까지 더 당기지? - (17) 용인나들목
- 용인휴게소
- (18) 결번이다. 추후 서울세종초고속도로의 분기점이 건설된다.
- (19) 양지나들목 (주말이나 명절이면 양지TG는 오지게 막힌다. 차선을 백괴스럽고 저질스럽게 만들었기 때문. 백괴스러움 요소 5)
- (20) 덕평나들목
- 덕평
자연휴게소: 별로 자연스럽지는 않은 것 같기도 하다. - (21) 호법분기점: 중부고속도로와 교차하는 유명한 분기점이다.
- (22) 이천나들목: 초딩들은 2000 나들목이라고 부른다 카더라.
- 여주휴게소
- (23) 여주분기점: 과거에는 삐18번 분기점이었고, 중부내륙고속도로와 교차한다.
- (24) 여주나들목
- (25) 문막나들목: 이제 강원도다.
- 문막휴게소
- (26) 만종분기점: 중앙고속도로와 교차한다.
- (27) 원주분기점: 광주원주고속도로와 교차하는 분기점이다.
- (28) 원주나들목
- (29) 새말나들목: 그런데 정작 주변에 새말이라는 지명은 없다. (백괴스러움 요소 6)
- (30) 둔내나들목: 여기부터 평창군으로, 다섯 나들목 뒤인 대관령까지 평창군이다.
- (30-1) 동둔내나들목: 둔내나들목과 면온나들목 사이에 있는 하이패스 전용 나들목으로 인천방향 진출만 가능하다.
- (31) 면온나들목: 평창군의 나들목이다.
- (32) 평창나들목: 평창군의 나들목이다. 원래 장평 나들목였으나 2016년 1월 1일에 평창 나들목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그런데 평창군내가지까지의 거리는 30km가 넘게 떨어져 있다.
- 평창휴게소
- (33) 속사나들목: 평창군의 나들목이다. (면 이름인 '용평 나들목'이 없음에도 굳이 동보다 못한 '리' 의 이름을 따서 IC 이름을 지었기 때문에
백괴스러움 요소 7)
- (34): 결번으로, 평창군에서 영천양구고속도로라는 듣보잡 고속도로와 교차할 예정이었으나 무산되었다. (백괴스러움 요소 8)
- (35) 진부나들목: 평창군의 나들목으로, 진정한 부자만이 이 나들목에 방문할 수 있다. 근처에 KTX 진부역이 있다.
- (36) 대관령나들목: 평창군의 마지막 나들목이다.원래 횡계 나들목였으나 2016년 1월 1일에 대관령 나들목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 강릉대관령휴게소: 대관령을 넘은 뒤 나온다. 본래 명칭은 강릉휴게소였으나 2014년 말 대관령이 뒤에 붙었다.
- (37) 강릉분기점: 동해고속도로와 교차하는 고속도로의 종점이다.
그 후[편집]
- 서창분기점 이후로는 무네미로과 만나서 수인산업도로와 교차하고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와 만난다.(장수 나들목) 그리고 더 가면 김포한강로와 올림픽대로와 교차하는 개화IC를 통해 올림픽대로로 들어가고, 올림픽대로 종점 뒤에는 놀랍게도 미사나들목을 통해 서울양양고속도로를 타 양양까지 갈 수 있다 카더라!
속도 제한[편집]
일단 대부분의 고속도로처럼 100km/h로 지정되어 있으나, 이는 형식적인 것이고 실제로는 최저 제한 속도인 50km/h도 운이 좋아야 낼 수 있는 속도가 되어 있다. 그 말은 엄청나게 막힌다는 것이다. 평시에도 그런데 명절이 되면...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보시오[편집]
고속도로 | ||
---|---|---|
남북 | [1] 경부 · [1] 경의 · [15] 서해안 · [17] 평택문산 · [25] 남자 호랑이 · [27] 순한 천과 완두콩 · [35] 중앙부산고속도로 · [45] 중부중부 · [55] 중앙 · [65] 동해 | ![]() |
동서 | [10] 남해 · [12] 광대(구 44내림픽) · [16] 울산 · [20] 새만금포항 · [30] 당진영덕 · [40] 평택삼척 · [50] 영동 · [52] 광주원주 · [60] 서양 | |
순환 | [100] 수도권제1순환 · [300] 대전남부순환 · [400] 수도권제2순환 · [600] 부산외곽순환 · [700] 대구외곽순환 | |
경인 | [110] 제2경인 · [120] 경인 · [130] 인천국제공항 | |
지선 | [151] 서천공주 · [153] 평택시흥 (제2서해안) · [171] 용인서울 · [171] 오산화성 [1] [253] 고창담양 |
- ↑ 용인서울선과 같은 노선번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