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위성

백괴사전, 너희 모두의 백과사전
(인공 위성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Confusion.svg 위성과는 다르다! 위성과는!
Achtung.svg 이 문서를 편집하시기 전에
어떤 사람이 보기에는 이 문서의 내용이 너무 가짜 같아서 실제 내용으로 수정하고 싶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곳은 유머를 즐기는 백괴사전입니다. 진지한 내용으로 문서를 채우고 싶으시다면 위키백과가십시오.
백괴사전의 이러한 특성을 무시하고 편집하는 경우, 문서를 망치는 짓거리로 몰릴 수 있습니다.
Nuvola apps kcmsystem.svg 이 문서의 대상은 기계입니다.
기계가 고장났을 경우 고물상에서 바꿔 먹거나 고스트로 락다운을 하시기 바랍니다.
락다운.jpg
방법:생물 분류 읽는 법생물 분류 읽는 법
인공위성
인공위성.PNG
멸종위기등급
해양에 대부분이 서식해 멸종될 염려가 없음
생물 분류
계: 동물계
문: 절지동물문
아문: 갑각아문
강: 연갑강
상목: 진하상목
목: 십각목
아목: 범배아목
상과: 인공위성상과
과: 인공위성과
족: 인공위성족
속: 인공위성속
종: 인공위성
학명
Sea satellite

인공위성(영어: Satellite,듕귁어: 燐空衛星?)은 인민 공화국의 위성으로, 갑각류에 속하는, 물고기사람에 버금가는 지능을 가진 천해? 생물이다. 그러나 현대에는 로켓이나 우주왕복선 속에서 기생하여 우주로 날아가는 종도 많다고 하지만 대부분 인공위성들은 바다에 서식하기 때문에 우주로 나가는 것을 대단히 싫어한다고 한다. 그 이유 때문에 네이로호 발사 때는 과학기술위성 2호의 마취가 잘못되어 네이로호 속에서 발광 해 추락했다 카더라. 이는 카더라 통신이 전한 것이므로 정확하다 카더라.

먹이[편집]

원래 인공위성들은 평화로운 바다 속에서 태양 전지판으로 해초를 키우며 잡아먹는 초식성 갑각류였으나 양아치, 멸치, 곰플레이어, 대구, 상어, 코알라, 간장게장 등의 최상위 포식자들의 개입으로 인공위성들은 과격해지기 시작했다. 그래서 인공위성들은 자신을 잡아먹던 양아치 등의 육식 동물들을 공격하려는 무기를 고안하여 천해의 상위 포식자가 되었으며, 고등어, 등의 대부분의 중하위 동물들을 주로 잡아먹는다고 하는 잡식 갑각류로 발전했다. 우주에서는 광합성을 해서 살아가며 배고플 때는 동족을 잡아먹는다고 한다.

인공위성에 대한 오해[편집]

대부분 인간들은 인공위성이 우주에서 쏘아올리는 기계라고 생각하는데, 이 생각은 잘못된 것이다. 단단한 것이라고 생각하면 인공위성의 껍데기이다. 앞에서 말한 것처럼 인공위성은 해양 생물이고, 지구의 궤도로 간 인공위성들은 0.01%도 안되는 희박한 경우일 뿐이라 한다. 컴퓨터로 제어하고 기계적인 일을 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인공위성이 우주에 갔을 때 의식을 잃어버리고 컴퓨터를 호기심으로 사용해 보는 것이다.

인공위성의 생태[편집]

백괴스럽게도, 인공위성들은 대륙붕 근처에 살면서도 산란을 할 때면 해저 화산에 가는데, 그 이유는 알이 로 덮여있어서 화산의 용암으로 쇠를 녹여야만 부화되기 때문이다. 이때 암컷 인공위성 한 마리가 한 번에 낳는 알의 개수는 약 500만 개가 된다고 한다. 갓 태어난 인공위성들은 화산 속에서 유황이나 광물을 먹고 살아가는데, 약 1년이 지나고 난 후 해저에 가서 스스로 사냥한다. 처음에는 소형 물고기들을 사냥하는데, 고래에게 크릴과 함께 먹히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생존해서 다 자란 인공위성들은 약 3만 마리가 된다 카더라. 다 자란 인공위성들은 평범하게 포식자 생활을 하던지 우주로 날아올라갈 건지 두 갈래 길을 선택하게 되는데, 다 자란 인공위성의 생태는 다른 문단에 있으니까 생략하겠다.

인공위성의 종류[편집]

크게 과학 위성, 통신 위성, 군사 위성, 기상 위성이 있다. 항행 위성은 인공위성과 혼동해서 사람이 만든 기계일 뿐이고, 우주선으로 분류된다.

과학 위성[편집]

고등학생들이 배우는 과학처럼 4가지 분류가 있다고 전해진다. 물리 과학 위성, 화학 과학 위성, 지구 과학 위성, 생물 과학 위성이 그것이다.

물리 과학 위성[편집]

여기서 말하는 물리는 인공위성들의 다른 생물들을 얼마나 잡을 수 있나, 태양 전지의 위력은 얼마나 하나, 우주로 날아갈 수 있는 힘이 있나 하는 단순한 힘에 관한 것 뿐이다. 힘에 관한 것을 관측해서 힘 측정 위성이라고도 부른다고 한다.

화학 과학 위성[편집]

바닷속의 위험 요소들을 찾아내어서 조사하고, 원소를 변환하는 인공위성이다. 옛날에는 별 비중이 없었으나 사람들이 오염 물질이나 쓰레기를 바다로 배출하는 바람에 이 위성의 비중은 상승했고, 군사 위성들과 함께 다닌다고 한다. 원소 변환 위성이라고도 부른다고 한다.

지구 과학 위성[편집]

바닷속의 지형들을 조사해서 바닷속의 지도를 만드는 인공위성이다. 고도가 얼마나 되는지, 관광 명소가 어디인지, 위험 요소는 어디인지, 지형의 모양은 얼마나 하나 등을 조사하는 인공위성이다. 측지 위성이라고도 부르며, 요즘은 제도 용구를 이용해서 자세히 조사한다.

생물 과학 위성[편집]

인공위성이 먹어야 될 생물과 먹지 않아야 할 생물들을 분류하는 위성이다. 사람들의 전자 현미경보다 더 탁웛하며, 먹으면 안 되는 생물들 중에는 대표적인 것이 해파리 등이라서 이런 것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군사 위성이 동원된다고 한다. 먹이 추적 위성이라고도 부른다.

통신 위성[편집]

물고기와 인공위성들의 통신장치들을 작동해 주는 인공위성이다. 인공위성들의 말에서는 막노동이라고 하는데, 맞는 말이다. 죽을 때까지 통신을 조절해 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군사 위성[편집]

사소한 것에서는 쓰이지 않고, 군사를 목적으로 쓰이는 인공위성이며, 인공위성 계의 스파르타라고 부른다. 군사 위성의 무기에는 , 키보드, 미사일, 씨밤쾅, 몰로토프 칵테일, 레이저, 파스텔, 무안단물, 알보칠 등 다양하다. 그 중에서 무안단물을 무기로 쓰는 군사 위성들은 최상급으로 분류된다.

기상 위성[편집]

이 기상 위성들은 보통 우주로 많이 나가며, 지구구름 제거를 목적으로 쓰는 인공위성이다. 그 때문에 먹이는 구름이며, 우주 환경 적응이 제일 빨라서 보통 우주로 간 인공위성보다 수명이 100배 이상이다.

도보시오[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