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고속도로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이 문서는 서울과 인천을 잇는 저속도로에 관한 것이거든. 그니깐 영종도와 성남을 잇는 고속도로에 대해서는 제2경인고속도로 문서를 보란 말이다.
이 문서는 서울과 인천을 잇는 저속도로에 관한 것이거든. 그니깐 송도신도시와 시흥시 목감을 잇는 고속화도로에 대해서는 제3경인고속화도로 문서를 보란 말이다.
![]() |
이 문서는 도로 관련 문서입니다. 도로를 잘 모르는 사람이 멋대로 편집하면 44내림픽저속도로에서 사망하실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하지만, 러시아에서는 44내림픽저속도로가 44.192.254.173에서 사망합니다! |
![]() |
이녀석 한 대만 맞어! 안되겠어 두 대. 좋았어, 세 대! 이렇게 잼없는 녀석은 오른발! 왼손! 나랑 언팔하자 이 멍청하고 어리석은 영혼아! 경인고속도로 |
“어, 왜 제3경인고속도로는 고속도로가 아니지?”
- —너, 제3경인고속도로가 고속도로 140호선이 아닌 지방도 330호선이란 사실에 놀라워하며
경인고속도로는 1967년부터 현재까지 꾸준히 공사를 해 온 고속도로 네쌍둥이들을 부르는 이름이다.
종류[편집]
종류는 북쪽부터 다음과 같다.
-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 경인고속도로
- 제2경인고속도로(인천대교)
- 제3경인고속
화도로
통과하는 지역[편집]
경인고속도로[편집]
제2경인고속도로[편집]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편집]
제3경인고속화도로[편집]
위를 보라. 네 쌍이 지나는 지역이 중복이다. 하지만 교통량이 많으니 그다지 중복에 대한 비판은 받지 않는다. 참고로 제2경인고속도로와 제3경인고속화도로는 서울을 지나지 않는데도 이름에 서울을 뜻하는 경이 붙었다. 심히 백괴스럽다.
과거 경인고속도로 구간[편집]
- 이 구간은 경인고속도로이다. (제2경인고속도로,제3경인고속화도로,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가 아니다!)
- 원래 신월~양평동 구간도 경인고속도로에 포함되었으나, 서울특별시로 관리가 이전되어 국회대로로 칭하고 있다.
- 이 구간은 지하차도로 되어있다.
나들목들[편집]
경인고속도로[편집]

120
(0) 인천시점: 나들목이 아니다 (W 인천항)(1) 도화: 서울 마포구 도화동이 아니다!(2) 가좌: 서울 은평구 가좌동이 아니다!- (3) 서인천: 2017년 12월 1일부터는 여기가 경인고속도로의 시점이다.
- (4) 부평
- (TG) 인천 요금소: 그나마 돈 받고 다시 표 끊는 게 아니라서 다행이다.
- (5) 서운 분기점: 여기서는 경인고속도로와 작별할 수 있기 때문에 왠지 모르게 서운해진다. (N 의정부 일산 김포, S 판교 안양 군포 시흥 부천)
- (6) 부천: 여기는 북부천(즉 사오정(설렁탕)구)으로 나가는 곳이다.
- (7) 新月: 여기가 현재 종점이다.
제2경인고속도로[편집]

110
인천대교[편집]
- (1) 空항신도시 분기점: 영종도 중부에 있는 나들목 겸용 분기점이다. (W 용유도 인천국제공항 신불, E 서울 김포공항 북인천)
- (2) 0종: 영종도 중남부로 나간다. 여기서 교통 사고가 났다고 알려졌다. 그러므로 여기 근방은 위험하니 조심하는 것이 좋다.
- (TG) 인천대교 요금소: 여기까지 영종도이다. 민자 요금소이니 29만원을 단단히 준비하는 것이 좋다.
- 인천대교
- (3) 송도 분기점: 아직 공사중이다. 송도신도시가 완공되지 않아 공사가 완료되어도 바다로 빠질 수 있으니 조심하는 것이 좋다.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와 교차하게 될 거라지만 알 게 뭐야.
- (4) 연水 분기점: 나들목 꼴이지만 알 게 뭐야. (E 제3경인고속
화도로 시흥) - (5) 옥련: 여기는 인천대교와 원래 제2경인고속도로를 연결하는 왕복 2차선 도로 중에 있다. 그러나 44내림픽저속도로와 같이 중앙분리대가 없는 것은 아니니 44내림픽저속도로보다는 형편이 낫다.
(기존) 제2경인고속도로[편집]
- 능해 나들목: 여기는 원래 제2경인고속도로였다. 인천대교가 개통된 뒤로 고속도로에서 해제될 뻔 했지만
의 힘으로 아직까지도 살아 있다. (W 인천남항 N 인천항)
- (6) 학익 분기점: 여기부터 원래 제2경인고속도로였던 구간이다. (W 인천남항 SW 인천대교)
- (7) 文學: 말 그대로 문학을 배우는 곳이다. 근처에 경기장이 있으니 거기서 문학을 배워도 좋다. 선경 용 야구단 구장도 있다.
- (8) 南東: 진짜 한자가 남동이다!
- (9) 서창 분기점: 나들목 겸용 분기점이다. (N 일산 김포 부천 (무네미로,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S 원주 용인 수원 안산(서해안고속도로))
- (TG) 남인천 요금소: 여기는 민자가 아니라 단돈 1000원만 준비해도 편히 지나갈 수 있다.
- (10) 新川: 서울 송파구 신천동이 아니다! 사실상 시흥의 중심이다.
- (11) 안현 분기점 (N 일산 김포 부천 시흥, S 판교 안양 군포(인천 서울 당진,평택,화성,안산) )
- (12) 광명: 사실 광명 도심과는 엄청 떨어져있지만 광명역 나들목보다는 훨씬 가깝다.?
- (13) 일
찍직 분기점: 여기는 일찍 지나가야 폐쇄를 면한다. (N 영등포 구로 금천, S 당진 평택 화성 안산) - (14) 石水: 1번 국도와 접해있다. 안양시의 북서부 나들목이다.
- (15) 삼막: 종점이다. 특별히 만든 이유도 없는? 평면 교차로이지만 종점이라서 평면교차로로 치지 않는다.
안양 ~ 성남[편집]
- (16) 북의왕 나들목
- (17) 북청계 나들목
- (18) 동판교 나들목
판교 분기점: 바로 옆으로 지나가기만 한다. 누는 이곳에서 경부고속도로로 진입하려다가 결국 삐좆되었다고 한다.- (19) 여수대로 나들목: 전라남도 여수시와 관계 없다.
- 이후 경기광주를 거쳐 원주까지 길이 이어진다지만 역시 알 게 뭐야.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편집]

130
- (8) 北路 : 이름 그대로 강변북로와 77번 국도(자유로)와 분기한다.(NW 판문점 파주, NE 원흥 강매, SE 용산 마포 월드컵경기장)
- (7) 44 : 44내림픽저속도로와는 다르다 !!!! 올림픽대로와 분기한다.
- (5) No5G 분기점 :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와 분기한다. (N 의정부 일산 김포(통일로,자유로), S 판교 안양 시흥 부천(경인고속도로) )
- (TG) 新공항 요금소 : 역시 위처럼 민자구간이라 29만원을 준비 해야 된다.
- (4) 北人1000 : 북인천인데 서구에 있다. 여기를 지나가면 서구의 땅덩어리의 크기를 보고 감탄할 수 있다. 정작 나들목 입구는 영종대교를 지난 영종도에 있지만 실수로 들어가도 다시 본 고속도로로 나올 수 있다. 드나들 때에는 영종대교 하부를 지난다고
- 영종대교 : 여기가 바로 44내림픽저속도로를 가지 못하는 사람들이 이용할 수 있는 80KM 제한 구간이다. 인천국제공항철도가 지나간다. 영종대교는 복층으로 이용한다.
- (3) 金山 : 절대 충청남도 금산군에 있지 않다. 새로 생겼다. 왜?
- (2) 空항입구 : 절대 공항입구에 있지 않다. 공항으로 가려면 서쪽으로 쭉 가야 된다.
- (1) 空항신도시 분기점 : 여기가 바로
시발점종점이다. 나들목 겸용이다.(S(E) 송도 인천대교, W 용유도 인천국제공항 신불)
제3경인고속도로[편집]

330
- (0) 연수 분기점 : 시점은 아니다.
- (1) 정王 : 과거 월곶 나들목을 대체하는 나들목이라고 한다. 그러나 원래 민자로 돈 받을라고 했으나 인근 주민들의 반발로 요금소만 달랑 지어넣고 통과하는 형태...였지만 요금소 시설을 없애버리며 무료로 개방되었다. 야 신난다!
- (2) 月곶 : 영동고속도로와 분기한다. (N 일산 부천 무네미로 인천 S 원주 수원 안산) 사실 이 고속화도로가 개통하기 이전에는 과거 월곶 나들목이 있었다. 그러나 월곶분기점 개통으로 철거되었다.
- (3) 연성 : 39번 국도와 교차한다. 신천이 사실상 시흥의 중심이라면 연성은 진짜 시흥의 중심이다. 그리고 근처에 시흥시청도 있다.
- (TG) 물王 : 민자 노선이라서 논산천안고속도로처럼 요금소가 2번 있다.
- (4) 도리 분기점 : 말과 다르게 논곡동,금이동에 있어서 도리에 어긋나서 이름 지었다.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와 분기한다. (N 일산 부천 시흥, S 판교 안양 (서해안고속도로) ) 또 닭도리탕을 얻어먹을 수 있다 카더라!
- (5) 木감나들목 앞 사거리 : 서해안고속도로 목감 나들목과 교차한다. (N:서울(제2경인고속도로,서부간선도로,1번 국도,광명역), S 당진 평택 화성 안산(서서울TG,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영동고속도로) ) 시흥시를 상징하는 큰 감자나무가 있다고 한다. 아 잠깐, 너는 이 도로가 위뷁 때문에 서해안고속도로와 직접 연결되어 있는 줄 알았을 거야. 하지만 고가도로는 서해안고속도로에서 제3경인고속
화도로로 가는 편도 노선이란 말이다.
경인고속도로 일반화[편집]
2017년 12월 1일부터 경인고속도로의 인천시점~서인천 IC 구간이 일반화됐다. 그런데 백괴스럽게도 서인천 IC~新月 IC 구간은 그대로 뒀다. 그리고 요금은 그대로 받는다. 물론 거리표도 인천시점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도보시오[편집]
고속도로 | ||
---|---|---|
남북 | [1] 경부 · [1] 경의 · [15] 서해안 · [17] 평택문산 · [25] 남자 호랑이 · [27] 순한 천과 완두콩 · [35] 중앙부산고속도로 · [45] 중부중부 · [55] 중앙 · [65] 동해 | ![]() |
동서 | [10] 남해 · [12] 광대(구 44내림픽) · [16] 울산 · [20] 새만금포항 · [30] 당진영덕 · [40] 평택삼척 · [50] 영동 · [52] 광주원주 · [60] 서양 | |
순환 | [100] 수도권제1순환 · [300] 대전남부순환 · [400] 수도권제2순환 · [600] 부산외곽순환 · [700] 대구외곽순환 | |
경인 | [110] 제2경인 · [120] 경인 · [130] 인천국제공항 | |
지선 | [151] 서천공주 · [153] 평택시흥 (제2서해안) · [171] 용인서울 · [171] 오산화성 [1] [253] 고창담양 |
- ↑ 용인서울선과 같은 노선번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