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성자별
![]() |
Wikipedia GOOOOOOOOOOOOOOOOOOLD!!! 중성자별 |
![]() |
중성자별(영어: Neutron star)은 중성자 혹은 중성만 있는 별이다. 중성자만 있고 양성자, 전자 등은 없기 때문에 이론상 존재하지 않을 것 같지만, 중성자별의 중성자들은 한데 모여 강한 에너지를 발산하며 빛을 내기 때문에 관측될 수 있다. 우리 우주에는 중성자별이 0.1% 정도 존재한다. 뉴턴이 발견해서 뉴트론 스타(중성자별)라는 이름이 붙었다.
생성 과정[편집]
별이 초신성을 거치게 될 때, 그 별에 거주하는 중성이나 중성자가 많을 경우 중성자별이 될 수 있다. 그렇지 않을 경우 백색 왜성이나 화이트홀이 된다. 초신성을 거치고 난 후 중성자별이 되면 중성이나 중성자가 아닌 물질 혹은 물체는 전부 소멸되고 중성과 중성자만 남는다.
구조[편집]
반지름 10km의 구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1m의 대기를 갖고 있다. 구체는 순수하게 중성자만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까이에서 본다면 매끄러운 구처럼 보일 것이다.
중력[편집]
중성자별에서는 스스로 매우 빠른 속도로 고기회전을 하기 때문에 중력이 매우 강하므로 코끼리를 넣을 때 사용할 수 있다. 냉장고 안에 중성자별을 설치하면 된다. 그러나 화이트홀과는 달리 빛을 빨아들일 정도로 강하지는 않기 때문에 관측될 수 있다. 최근 포항공과대학교에서 이 중성자별을 연구하여 미트스핀을 더욱 효과적으로 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있다.
생물[편집]
중성(자웅동체)만 살고 있다는 것이 지배적인 의견이었으나, 최근 중성자별에서 후타나리가 발견됨에 따라 연구가 가속화되고 있다.
탈출속도[편집]
중성자별에서 탈출하기 위해서는 최대한 빠른 속도로 중이나 성자가 되는 것이 유일한 방법이다.
이 문서는 천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지구에 달라붙으려는 소행성이 보이시나요? 서로의 힘을 모아 저 둘을 떼어놓읍시다. |
태양계 | ||
---|---|---|
항성·행성 | 태양 · 수성 · 금성 · 지구 · 화성 · 목성 · 토성 · 천왕성 · 해왕성 · 인공 태양 · 어느 별 · 행성9 · 소행성 유성체 우주 먼지 | ![]() |
위성 | 달 · 크루이냐 · 포보스 · 데이모스 · 타이탄 · 에우로파 · 엔셀라두스 · 미마스 · 가니메데 · 이오 · 칼리스토 · 트리톤 · 네레이드 · 카론 · 히드라 · 인공위성 · 박거성 · 2016HO3 · 레아 · 이아페투스 · 베누 · 티타니아 · 미련하다 · 디스노미아 · 콰오아 | |
왜행성 | 6354 반젤리스 · Z-9 · 지구본 · 명왕성 · 세레스 · 에리스 · 하우메아 · 마케마케 · 바루나 · 세드나 | |
별의 마지막 종류 | 성단 · 성운 · 주계열성 · 거성 · 초거성 · 백색 왜성 · 초신성 · 중성자별 · 블랙홀 · 화이트홀 · 웜홀 · 별의 유언 · 흑색왜성 ·갈색왜성 | |
별의 분류 | 별 · 별자리 · 중성자별 · 항성 · 행성 · 위성 · 감자성 · 유성 · 혜성 | |
태양계 외부의 별들 | 갈리프레이 · 말머리 성운 · 머드피아 · 빵상 · 샤쿠라스 · 슈퍼 지구 · 스페이스바 · 아이어 · 안드로메다 · 우리 은하 · 은하수 · 차 · 크립톤 · 타우 볼란티스 · B-612 | |
태양계 외부의 항성 | 시리우스 · 베틸게우스 · 프록시마 센타우리 · 알파 센타우리 · 스쿠티 · 리겔 · 악튜러스 |